지연선택과 양자 지우개 실험의 다른 해석

 

  일전에 올렸던 [지연선택과 양자 지우개 실험]의 결론에 대하여 다른 의견이 있어서 오늘은 그것을 소개.
 
  먼저, 양자 지우개 실험을 짧게 정리하자면, 

  1. 빛 혹은 입자는 측정이 행해지기 전까지는 파동의 속성을 갖는다.
  2. 이중 슬릿을 통과한 입자들(혹은 빛)을 작은 크리스털을 사용하여 절반씩 쪼갠(얽힘 상태) 후, 얽힌 반쪽의 입자를 측정하면 (Delayed Choice) , 나머지 반쪽도 즉시 입자로서 행동하며, 
  3. 어느 슬릿을 통과하였는지 나중에 그 정보를 지울 수도 있도록(Quantum Eraser) 조작을 가하면 그 반쪽 입자는 다시 파동의 성질을 띤다는 것을 확인하는 실험. 

  실험의 간략한 개요는 아래와 같다.

자세한 내용은 일전에 올린 글(https://nofreelunch.tistory.com/113) 참고.

 

  위 실험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바로 인과성 위배이다. 이전에 설명했던 것과 같이, 스크린(위의 사진에서 interference screen이라고 표시된 부분)과 감지기 C, D의 거리가 스크린보다 더 멀고, 이것은 스크린에 이미 도착하여 입자로서의 특성을 보인 빛이, 시간이 지난 후에서야 자신의 얽힌 입자에게 가해진 측정치가 사라짐을 느낀 후, 시간을 거슬러 과거로 가서 자신의 특성을 파동으로 다시 바꾸었다는 이야기이다. 즉, 현재의 측정이라는 행위를 통해 입자가 자신의 과거 사건을 바꾼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많은 과학자들이 꺼려하는 것이 두 가지 있는데, 하나는 빛보다 빠른 입자의 존재가 자신의 이론에 나타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바로 인과율 위배가 생겨나는 것이라고 한다. 빛보다 빠른 입자의 증명은 아인슈타인의 이론 - 특수 상대성 이론과 대결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지금까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단 한 번도 틀린 적이 없다). 그리고 시간은 과거에서 현재로 옮겨와 미래로 흘러가며 인과율의 영향도 그 순서대로 진행된다. 시간은 시위를 떠난 화살과 같다. 미래나 현재의 일이 과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앞으로 가고 있는 화살이 과거의 자신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며, 이것은 우리가 아는 인과율이 즉시 와해될 것이라는 이야기의 다름 아니다. 

 

  각설하고, 일단 다른 쪽에서는 양자 지우개 실험의 이 인과율 위배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들어보자. 

 

  영상에서는 두 가지 전제를 이야기하는데, 하나는 이중슬릿 실험에서 하나의 슬릿만 통과한 빛(입자의 성질을 띤)은 입자가 아니라 하나의 슬롯을 통과한 파동이라고 설명한다.

<측정 시 빛은 하나의 슬릿을 통과한 파동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양자 지우개 실험의 스크린에 나타나는 빛의 모양은(측정당한 빛임에도 불구하고) 위의 그림과 같이, 이중 막대기 모양이 아니라 하나의 얼룩 (blob) 같은 덩어리 모양으로 나타난다. 

  다른 하나는 얽힌 입자에 대한 설명이다. 얽힌 입자는 각각의 정보(spin)를 공유하고 있지만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는 측정이라는 행위가 있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 그리고 얽힌 입자의 스핀의 합은 제로이다. 즉, 한 쪽의 스핀값을 알게되면 다른 쪽 얽힌 입자의 스핀값은 측정하지 않아도 그 반대라는 것을 알게 된다. 

<얽힌 입자간의 스핀의 합은 제로이다>

 

  영상은 양자 지우개 실험을 다시 재현하고 있는데, 우리는 이미 아는 이야기이니 넘어가도록 하자. 다만 설명에 사용한 전체 실험의 다이어그램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이니 아래 그림을 사용하도록 하겠다. 

<양자 지우개 실험의 간단한 도식. 빔 스플릿이 감지기 D3와 D4사이에 있어서 빛이 어느 슬릿을 통과했는지 알 수 없게 만든다>

  우리가 익히 아는 바와 같이, 감지기 D3나 D4를 켜면 아래와 같은 간섭 무늬(interference pattern)를 볼 수 있다. 

<각각의 감지기는 이중 슬릿을 통과한 것 처럼 간섭무늬를 만들어 내지만 자세히 보면 서로의 무늬가 다르다>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이야기. D3와 D4의 패턴은 서로 조금씩 다르며 그 둘을 합하면, 아래 그림처럼 얼룩 (blob) 같은 덩어리가 나타난다

<D3와 D4를 합하면 결국 하나의 blob 패턴이 만들어진다>

  다시 실험을 감지기별로 하나하나 살펴보자. 

  위의 그림에서 감지기 D1나 D2를 켰을 때 생기는 무늬는 간섭이 없는 형태이다. 그렇지만 그것도 스크린에서 만들어진 무늬의 부분집합일 뿐이다. 즉, D1과 D2의 패턴을 합하면 그것은 스크린에 나타난 무늬와 일치한다. 다만 D1과 D2에서는 간섭무늬가 아닌 하나의 덩어리 모양의 무늬가 나타났을 뿐이다. 

  감지기 D3나 D4를 켰을 경우에는 간섭 무늬가 나타난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두 개를 합하면 (즉, 두 개의 감지기를 모두 켜면) D1+D2 무늬와 동일하게 뿌연(blob) 덩어리 무늬가 나타난다 - 영상의 저자는 이것이 다른 유튜버들, 즉 양자 지우개를 설명하는 과학 유투버들의 영상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분이라고 말 한다. 그래서 사람들을 헛갈리게 만들었다고...

<D3+D4는 D1+D2에서 나타난 무늬처럼 뿌옇게 나타날 뿐이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해서, 영상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양자 지우개 실험은 첫 번째 스크린에 나타난 빛의 패턴의 부분집합(subset)을 나타내는 것일 뿐, 인과율 위배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다. 그 과정이 복잡해서, 실험 자체가 너무 복잡해서 헛갈리기 쉽지만, 미래의 사건이 과거의 사건을 변경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 실험은, 처음 스크린에 나타난 blob패턴의 subset을 채취하는 복잡한 과정일 뿐이라고 이야기한다. 


 

  사실 위의 영상을 보게 된 것이 조금 오래되었는데, 글을 쓸까 말까 하다가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전 글을 보고 있어서  (A/S는 해야 할 것 같아) 후속으로 이런 의견도 있다는 글을 준비하게 되었다. 글을 쓰면서 이것저것 좀 찾아 보았는데, 예를 들어 영상에서 이야기하는 하나의 슬릿을 통과한 파동(책에서는 빛을 파동으로 설명하면서도 측정이라는 행위가 들어간 빛은 입자처럼 행동한다고 설명함)이라는 개념이, 사실 측정이라는 행위에 대한 결과의 여러가지 해석 중의 하나라는 것, 즉 현대 과학은 아직도 측정이라는 행위가 물리학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해석도 각기 다르다는 것을 배우는, 계기가 되어 주었다. 

 

  위의 영상을 보면서도 아직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감지기와 스크린의 거리, 즉 시간차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이다. 분명히 시간차(6ns, 다른 곳에서는 8ns)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간섭 무늬 혹은 간섭이 없는 무늬가 선택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분명 이상한 일이다. (물론 위의 영상에서는 그런 것을 '쓸데없이 복잡하기만 하고 아무 의미도 없는 것'으로 치부하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래서 그런지 아직 이 실험의 인과율 위배에 대해 그것이 실제임을 설명하려는 과학자들도 있는 것 같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C%97%B0%EC%84%A0%ED%83%9D_%EC%96%91%EC%9E%90_%EC%A7%80%EC%9A%B0%EA%B0%9C)

 

  추가적으로, 이 실험에 대한 해석에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에 링크된 블로그 글과 또 다른 영상(실제 스크린에 어떠한 무늬가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지 자세히 설명. 추천함)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 블로그 글은 위의 영상 말미에 소개된 그 블로그이다.

Sean Carroll

https://www.preposterousuniverse.com/blog/2019/09/21/the-notorious-delayed-choice-quantum-eraser/

  이상으로 오늘의 잡담을 종료.

 

<그리고, 오늘의 음악>
반응형

지연선택과 양자 지우개 

 

    1999년 초에, 물리학자 "Yoon-Ho Kim, R. Yu, S. P. Kulik, Y. H. Shih and Marlan O. Scully"들이 <Delayed Choice Quantum Eraser>라는 이름의 한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이중슬릿을 통과한 입자는 파동처럼 행동할 것인데, 만일 이중슬릿을 통과한 이후에라도 이 입자가 이중 슬릿 중 어느 슬릿을 통과했는지 확인하는 측정을 거친다면, 이 입자는 비록 이중슬릿을 모두 통과했다 하더라도 단일 슬롯을 통과한 것처럼 행동할 것이라고 한, 존 휠러(John Archibald Wheeler)의 지연선택 사고실험(delayed-choice experiment) 이 실제 참인지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이 이론을 이야기하기 이전에 먼저 알아야 할 내용이 있다.  

 

    1. 이중 슬릿 실험

         양자역학의 그 유명한 이중 슬릿 실험. 아래의 그림과 같이 빛 혹은 입자는 우리가 어떠한 실험을 하는가에 따라 어떨때는 파동으로, 어떤 경우에는 입자로서 존재한다. 

 

<이중슬릿에 빛을 통과시키면 그 패턴은 파동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입자가 어느 슬릿을 통과하는지 감지기를 앞에 두면, 입자의 간섭패턴은 사라지고 하나의 입자처럼 행동한다>

 

        이중 슬릿을 통과하는 빛의 모습을 가상으로 담은 영상 

         (https://en.wikipedia.org/wiki/File:Double_slit_experiment.webm)

 

 

    2. 지연 선택 실험(Delayed-Choice)

       위의 이중슬롯 실험에서, 존 휠러는 '입자(혹은 빛은) 언제 실험장치를 '감지'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했다. 다시 말해 입자는 자신의 속성을 입자로 할지 혹은 파동으로 할지 언제 선택을 하는가?  

      답을 얻기 위해 그는 하나의 사고실험을 고안하였다. 

 

<10억 광년 떨어진 어느 별(퀘이사)에서 날아온 빛이 중력렌즈를 통과하여 간섭무늬를 만들어 지구에 도착한다>

 

     아주 먼 거리에 있는 퀘이사에서 출발한 빛이 은하들의 중력렌즈 효과에 의해 휘어져 우리 지구의 망원경에 도착한다고 가정해 보자. 위의 그림과 같이, 빛은 중력렌즈를 통과할 때, 이중 슬롯을 통과하는 것 처럼, 간섭무늬를 만들어 우리에게 도착할 것이다. 그런데, 만일 우리가 감지기를 두어 퀘이사의 빛이 위 아래중 어느 쪽 방향을 거쳤는지 알게되면 이 빛은 입자로서의 성질을 가질 것인가? 10억 광년에 걸쳐 파동의 속성을 가진 빛은 입자 감지기를 통과하면 하나의 입자로서 행동하게 되는가? 

     휠러는 빛 혹은 입자가 파동과 입자의 속성이 언제 선택되는지 궁금해 했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이중슬롯의 양 슬롯을 모두 통과한 빛은 파동처럼 간섭무늬를 만든다. 그렇다면 양 슬롯을 동시에 통과하여 파동의 성질을 띄고 있는 이 빛에 특별한 감지기를 두어 슬롯의 두 경로 중 하나로만 통과했다는 정보를 알게되면, 이 빛은 파동의 성격을 그대로 갖고 있는가? 아니면 단일 슬롯을 통과한 것처럼 하나의 입자로서만 행동하는가? 

     만일 단일 슬롯을 통과한 것처럼 하나의 입자로서 행동한다면, 이것은 이중슬릿을 모두 통과했던 파동으로서의 빛의  과거는 지워지고, 단 한개의 슬롯만 통과한 입자로서의 과거를 새로 만들어낸, 입자가 시간을 거슬러 자신의 과거 사건을 변경했다는 의미도 된다. 

 

3. 지연 선택의 양자 지우개

     존 휠러의 사고실험은 빛 혹은 입자는 최종 측정행위에 의해 그 속성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렇다면, 측정이라고 하는 행위는 측정당한 입자의 과거의 상태도 바꿀 수 있는 것인가? 혹시, 우리는 입자의 과거 모습을 지금의 측정행위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양자 지우개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맷(Dr. Matt O'dowd) 아저씨>

     

     그림만 봐도 머리가 아플려고 한다. 실제 이 실험은 복잡하면서도 매우 미묘해서 동영상 없이 글로만 설명하기가 불가능할 것 같다. 

<이중슬릿 실험부터 설명함>

   그래도 짧게 글로 설명하자면,

    1)이중 슬릿을 통과한 빛이 다시 프리즘을 통과하도록 하여 각각의 빛(위의 그림에서 하나는 초록색, 또하나는 보라색으로 표현했다)을 얽혀 있는 상태로 만든다.(쉽게 이야기하자면 하나의 빛을 슬릿을 통해 두 개로 나누고 그 나뉜 빛을 다시 각각 복사하여 쌍둥이들을 만든 상태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이 상태에서는 스크린에는 간섭무늬가 나타날텐데, 빛은 자신이 어느쪽 슬릿을 통과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2) 감지기 A, B를 켜면 스크린에는 간섭무늬가 사라진다. 빛이 어느 쪽 슬릿을 통과했는지 A혹은 B감지기를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스크린으로 달려가는 광자쪽에 감지기가 없는데도 이렇게 되는 이유는 이 광자들의 쌍둥이 형제, 즉 얽힌 빛 입자들이 감지기에 감지되기 때문이다)

    3) 여기서 감지기 C,D를 켜면(이것이 양자 지우개 역할을 하는 장비이다), 스크린에는 다시 간섭무늬가 나타난다. 감지기 C,D가 하는 역할은 A, B감지기에서 나온 빛이 어느 감지기에서 나온 것인지 알 수 없도록 그 경로를 지우도록 한다.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C,D중간에 자리잡은 저 앏은 유리(?) 때문인데, 직진과 반사의 확률이 반반이되어 어느쪽 감지기에서 나온 광자인지 알 수 없게 만든다. 즉 확률을 사용하여 실제 슬롯 통과 위치를 지워버렸다.

 

   위의 내용으로만 봐서는 뭐가 문제가 되는지 알기가 힘들다. 이중 슬릿을 통과한 빛이 스크린에 간섭 무늬를 띄는 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이므로 당연한 것이다. 얽힌 입자를 써서 어느 슬롯을 통과했는지 확인한 방법은 좀 복잡해 보이기는 하지만, 일단 측정이 가해졌으므로 당연히 스크린의 간섭무늬는 사라지는 것이 맞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C,D의 감지기와 유리판을 사용하여 위치정보를 지우는 방법은, 매우 똑똑한 방법으로 칭찬받아 마땅하지만, 경로가 지워졌으니 스크린에 다시 간섭무늬가 나타나는 것은 합리적이다. 

   

   사실 위의 사진에서 이야기 하지 않은 부분이 하나 있는데, 바로 스크린과 감지기 C,D의 거리이다. 감지기 C, D의 거리가 스크린보다 더 멀다. 시간으로 따지면 약 6ns정도 차이가 난다고 한다. 이것은 스크린에 이미 도착하여 입자로서의 특성을 보인 빛이, 6ns시간이 지난 후에서야 자신의 쌍입자(얽힌 입자)에게 가해진 측정치가 사라짐을 느낀 후, 시간을 거슬러 과거로 가서 자신의 특성을 파동으로 다시 바꾸었다는 이야기이다. 즉, 현재의 측정이라는 행동이 입자의 과거 사건을 바꾼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 셈이다. 

    다시 휠러의 사고실험으로 돌아가자. 그는 10억광년에 걸쳐 여행하면서 (이중슬롯 역할을 하는 은하의 중력렌즈를 통과하여) 도착한 빛을 우리가 지금 입자로 측정하면, 그것은 10억광년 동안 자신이 파동으로 행동하였던 과거를 지우고, 입자로서의 과거(그림에서 중력렌즈 역할을 한 은하를 통과할 때 한 방향으로만 통과)를 10억년의 시간을 단숨에 거슬러올라가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앞서 글에서, 얽힌 입자간의 상호작용은 시간이 걸리지 않고 즉시 이루어진다고 했었는데, 이 이론은 거기에 더해 입자의 상호작용이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이전의 사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것과 동일한 결과를 보여준다. 얽힌 입자간의 이러한 상호작용이 진짜 시간을 거슬러 이루어진 것인지, 혹은 아직 우리가 모르는 파동의 어떤 속성 때문인지는 (지금까지도) 아무도 모르지만, 다만 실험결과는 이것이 실제로 벌어지는 진실이라고 말한다. 즉, 이 세상은 관측이라는 측정행위가 실체를 만들며, 어떤 특수한 경우에는 그것들, 입자들은 시간을 거슬러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처럼 행동할때도 있다.   

 


 

   글이 쓸데없이 길어진 듯. 

    "과학의 좋은 점은 당신이 그것을 믿든 안 믿든 그것이 사실이라는 것이다." 라고 말한 '닐 타이슨'의 명언을 새기며 오늘의 잡담을 종료. 

 

     

PS. 혹시 양자 지우개로 과거의 사건, 즉 지난 주 로또 1등 번호를 바꿀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면, 당신도 나와 같은 생각을 한 사람.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고, 문제의 정답은 또다른 영상(Is There a Fifth Fundamental Force? + Quantum Eraser Answer - YouTube)을 참고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