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make personal AdGuard Home DNS Server using Orange PI zero 3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재미난 미니 서버 활용기를 보게되어 여기에 소개. 

<제품 구매부터 설치까지, 하나하나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오늘은 위의 유투브에서 소개하듯이 인터넷 광고를 제거하기 위한 간이 DNS 서버를 구축해 보자. 준비물로는, 

  1. 오랜지 파이 제로 3 보드 - 인터넷에서 약 2.5-3.5만원에 구매가능. 저장장치는 없고 1G, 2G, 4G 램 옵션으로 판매하고 있다. 본인은 2G램을 올린 보드를 약 3만원 약간 안 되게 주고 구매하였다. 
  2. TF 메모리 카드 - 최소 8G이상 필요하며 여기에 OS를 설치한다. 집에 남는 메모리가 있어서 따로 메모리카드를 구매하지는 않았다. 
  3. 전원 공급을 위한 usb C 케이블 및 5V 3A 이상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전원아답터 - 남는게 아답터라 이것도 있는 것을 사용.
  4. 오랜지 파이 제로를 위한 방열판 -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본인의 경우 DNS이외에 이 보드를 활용한 다른 기능들도 사용할 예정이라 발열관리를 위해 방열판도 따로 구매하였다. 약 3-5천원 정도 추가 지출이 발생.

  부품은 알리에서 일괄 구매하였고, 택배는 주문후 약 일주일만에 집으로 도착.

<오랜지 파이 포장 상태>

 

<개봉 상태. 정말 작다.>

 

<방열판 붙인 후 사진>

 

 

Q1. 이건 뭐하는거야? 

     컴퓨터이다. 작은 미니 컴퓨터. 여기에 리눅스(Diet-Pi)를 올리고, 또 AdGuard Home DNS Service를 올려서 특별한(여기서는 광고) 사이트를 차단하는데 쓴다. 길게 글로 설명하는 것 보다는 위의 유투브 영상을 보시면 이해가 쉽다. 영상에 구매부터 설치까지 아주 쉽게 잘 설명되어 있어서 따로 설명이 필요치 않으리라 생각된다. 하나 추가하자면 광고차단만 할 수 있는게 아니라 이 보드로 다른 것들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용 클라우드 서버도 만들 수 있고, 개발 툴에 관심이 있다면 C, C++, 자바 등의 개발툴도 사용할 수 있으며(컴파일 속도도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삼만원 짜리 미니 컴퓨터 치고는), 개인 웹 서버도 만들 수 있다.

<AdGuard Home DNS 서버 이외에도 꽤나 많은 프로그램들을 설치해 볼 수 있다.>

 

Q2. 그래서 광고는 잘 차단 되는가?

      퍼센트로 따지자면 약 70-80% 정도(몇몇 사이트를 일일이 수동으로 추가하는 등의 약간 손을 대면 80-90%) 막아주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광고, 그러니까 페이지에 광고서버가 따로 달린 경우에는 거의 100%막을 수 있지만, 한 사이트 내에 같은 사이트의 스크립트로 광고가 도배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고가 표시된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광고서버가 따로 달려있어서(구글 애드센스가 바로 이런 경우) 잘 막아주는데, 최근에 새로 갱신된 사이트들은 같은 사이트내에서 이미지와 스크립트로 광고를 달아둔 경우(아마도 따로 광고계약을 해서 올리는 듯)가 많고 이 경우에는 광고가 나오는 것을 막을 수 없다. 

     그리고 스트리밍 동영상, 즉 유투브나 트위치 등의 광고는 위의 AdGuard Home을 사용해도 막을 수 없다. 가장 아쉬운 부분.

     

Q3. 70-80퍼센트? 100%막아주는 광고차단 프로그램도 많은데 굳이?

      안드로이드를 쓰거나 일반적인 윈도우 기반의 PC를 사용한다면 굳이 돈 들여서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다는데 동의한다. PC쪽은 uBlock 등을 쓰면 되고, 안드쪽은 파이어폭스나 reVanced를 쓰면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iOS, 즉 아이패드, 아이폰 관련 휴대기기들인데... iOS 쪽은 광고를 막기위한, 흡족한 방법이 별로 없는것 같다. 물론 AdGuard쪽이 있긴 한데, 이쪽은 사용 기기 대수 제한에 구독이라 개인적으론 사용이 꺼려진다. 그래서 맥 환경에서는 이렇게 간이 광고제거용 DNS 서버를 설치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였다. 비용이라 해봐야 약 3-4만원 안쪽에 소량의 전기세만 나오니까. 물론 100%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없는 것 보다는 훨씬 쾌적한 브라우징이 가능했다. 또한 멀웨어나 가짜 사이트 등도 필터링 해 주고 주기적으로 그 필터가 업데이트 되는 장점도 있고. 그리고...

       위의 유투브 영상에서도 소개된 부분인데, 내 공유기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들의 사이트 접속기록도 볼 수 있고, 원한다면 어떤 사이트의 접속을 영구히 막을 수 있는 기능도 있다. AdGuard Home의 로그 기록들을 살펴보면, PC든 태블릿이든 한 단말에서 정말 수많은 사이트에 데이터 요청을 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중에는 본인이 원하지 않는 사이트의 요청도 있을 수 있는데, AdGuard Home에서 클릭 한 번으로 의심스러운 사이트를 바로 막을 수 있으니, 약간의 비용을 들여 이 보드를 설치하는 것도 나쁘지 않게 생각한다 - 개인적으로는 중국산 IOT 기기들이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어떤 일들을 하고 있는지 궁금했었는데, 별다른 데이터는 던지지 않았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이 제품의 구매 가치는 충분했다고 본다. 

 

Q4. 그럼 AdGuard Home 말고 쓰고 있는 서비스가 있어?

      NextCloud라는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올려 쓰고 있다. 핸드폰과 태블릿에 있는 사진과 문서를 자동으로 동기화해 주는데, 비용도 안 들고(아이클라우드나 구글드라이브처럼 매달 돈 들지 않는다. 무료) 안드로이드와 iOS용 앱도 따로 있어서 아주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다. 물론 상용 서비스인 아이클라우드처럼 매끄럽게 돌아가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정도면 따로 개인이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본다. 

 

<개인 클라우드 프로그램 - NextCloud>

 

 

    따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개발 프로그램도 설치 하고 각각의 프로그램들이 잘돌아가는 것을 보면서, 커맨드 창에서 키보드로 명령어를 입력하다보니, 옛날 생각도 나고, 보드 도착하고나서 설치까지 시간 가는줄 모르게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던 것 같다.

    추가적으로 DNS Server는 공유기처럼 24시간 돌아가야 하므로 발열이 적고, 전기를 덜 먹는 작은 보드에 설치하는 것이 최적이다. 그런 의미에서 Orange PI zero 3는 나쁘지 않은 선택이며, 당신에게도 재미있는 장난감이 될 것 같다 라는 생각으로, 오늘의 잡담을 종료.

 

 

<오늘의 음악은 blur의 Coffee & TV>

반응형

+ Recent posts